자료 모음/경제 일반 2012. 4. 26. 14:30
728x90
반응형
SMALL

【서울=뉴시스】류난영 기자 = 설연휴 이동으로 지난 2월 상용 근로자의 근로시간이 크게 늘어난 반면 실질임금 상승률은 1%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동월대비 상용근로자의 근로시간이 늘어난 것은 지난해 9월 4.7% 상승한 이후 5개월만에 처음이다.

고용노동부는 농림업과 어업을 제외한 분야의 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 2만8000개를 대상으로 사업체노동력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조사 결과 지난 2월 기준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총근로시간은 176.7시간으로 전년 동월(153.8시간) 대비 14.9% 증가했다.

상용근로자는 전년동월(157.2시간) 대비 15.5% 증가해 181.5시간 이었고 임시·일용근로자는 전년동월(115.5시간)대비 8.8% 증가한 125.7시간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 대비 월평균 근로시간은 상용근로자의 경우 지난해 2월부터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었으며 임시·일용근로자는 2010년 12월부터 계속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설 연휴가 속한 달이 지난해 2월에서 올해 1월로 옮겨가면서 전년동월대비 월평균 근로시간이 크게 늘었다.

특히 전년동월대비 상용근로자의 근로시간이 10%대로 늘어난 것은 2008년 관련 통계자료를 작성한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고용부 관계자는 "설 연휴가 속한 달이 이동하면서 근로시간이 크게 늘었다"며 "지난해 2월 소정근로시간은 17일이었으나 올해 같은달 소정근로시간은 21일로 4일이나 차이가 나기 때문에 32시간 정도 느는 것이 정상인데 22.9시간 증가에 그쳤기 때문에 사실상 큰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산업별로는 부동산업 및 임대업이 월 평균 196.7시간으로 가장 길었으며 건설업은 월 평균 153.9시간으로 가장 짧았다.

상용근로자 5인 이상~300인 미만 사업체의 총근로시간은 177.0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4.7% 증가했으며 300인 이상 사업체는 175.3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5.7%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288만4000원으로 전년동월(276만8000원) 대비 4.2% 상승했다.

소비자물가지수(3.1%)를 고려한 실질임금은 271만8000원으로 1.0% 증가에 그쳤다.

실질임금은 임시·일용근로자는 121만8000원으로 9.7% 증가했으나 상용근로자는 286만1000원으로 1.0% 증가에 그쳤다.

근로시간이 늘었으나 실질임금은 줄면서 근로자들의 삶은 더 팍팍해진 셈이다.

고용부 관계자는 "설 연휴가 속한 달이 변하면서 연휴 보너스가 지급되지 않아 임금이 줄어들은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3월 말 기준 사업체 총종사자수는 1381만4000명으로 전년동월(1370만8000명) 대비 10만6000명(0.8%) 증가했다.

상용근로자는 1.3% 증가한 1100만8000명, 임시·일용근로자는 3.8% 감소한 175만4000명으로 나타났다.

일정한 급여 없이 봉사료 또는 판매실적에 따라 수수료만 받는 기타종사자는 105만2000명으로 3.2% 증가했다.

전년 동월 대비 종사자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산업은 건설업(6만7000명)이었으며 가장 많이 감소한 산업은 협회 및 단체수리업(3만4000명 감소)으로 분석됐다.

현재 비어 있거나 1개월 안에 새로 채용될 수 있는 일자리를 의미하는 빈 일자리 수는 8만5000개로 전년동월 보다 3.3%(3000개) 감소했다.

전체 근로자 수와 빈 일자리수의 합 대비 빈 일자리 수를 뜻하는 빈 일자리율은 전년 동월과 같은 0.7%였다.

빈 일자리 1개당 실업자수는 10.9명으로 전년동월 12명보다 1.1명 감소했다.

you@newsis.com

출처: http://media.daum.net/economic/newsview?newsid=20120426120208220

반응형
LIST
posted by BwithU
:
728x90
반응형
SMALL
◆ 요즘 시장서 눈길끄는 주식 2題 ◆

저PER(주가수익비율)를 보는 시각은 엇갈린다. 가격이 싸다는 측면도 있지만 수익성 부분에 대한 의구심에서 비롯된 결과라는 시각도 있다.

23일 종가 기준으로 2000년 이후 PER가 역사상 저점인 종목은 38개다. 실적 예상치는 애널리스트의 2012년 연간 순이익(IFRS 별도) 추정치 평균이다.

여기에는 3~4월에 인기 없는 종목들이 대거 들어 있다. 우선 통신업계의 간판인 SK텔레콤KT가 꼽힌다. 시들해진 교육주의 대교와 웅진씽크빅도 마찬가지다. SBS미디어그룹의 SBS와 SBS콘텐츠허브도 PER가 역사적 저점 수준이다. 결론적으로 저PER주의 주된 축을 내수주가 형성하고 있는 셈이다.

이는 국내 증시를 보는 주요 투자자의 시각이 투영된 결과다.

김현욱 유리자산운용 주식운용본부장은 "내수주가 부각됐던 작년 하반기에 비해 거시경제 위험이 준 상황"이라며 "성장성이 큰 수출주에 무게를 둔 결정은 주요 투자자들의 시장을 보는 눈에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내수주는 대통령 선거란 정치적 이슈 속에서 규제의 굴레에 발목을 잡힐 우려가 있다는 견해도 주가 약세에 한몫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대형마트의 이마트와 통신주가 대표적인 예다. 큰 선거 때마다 등장하는 요금 인하 이슈는 외국인 투자자도 이미 주지하고 있을 정도다.

이 때문에 저PER는 외견상 매력적인 소재지만 투자 결정의 제1 지표로 삼아서는 안 된다는 경계의 목소리도 있다.

송상훈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은 "PER는 순익 예측치를 근거로 한 지표"라며 "예측치의 가시성이 높을 때만 의미 있다"고 말했다. 저PER는 수익성이란 성장 가능성이 뒷받침될 때에야 비로소 제대로 된 투자 매력 지표라는 얘기다.

[김대원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2&no=247932
반응형
LIST
posted by BwithU
:
자료 모음/경제 일반 2012. 4. 23. 12:49
728x90
반응형
SMALL

미국에서 올해 1분기에 정크본드(Junk Bond) 발행액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해 실물경제 회복에 청신호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고 연합뉴스가 23일 한국금융연구원의 보고서를 인용해 보도햇다.

`정크본드시장의 부활: 미국경제에 봄이 오는가?` 보고서에서 1분기 미국의 정크본드 발행액이 22년 만에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

정크본드란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을 일컫는다. 기업이 부도날 위험이 크지만 그만큼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시장에서 1분기에 약 130개 기업이 정크본드를 발행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2% 증가한 750억 달러 규모다.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80년 이후 분기별 최대치다.

이는 2009년 이후 지속한 저금리 기조와 유동성 공급 확대 때문이다.

톰슨 로이터에 따르면 1분기 고수익 회사채의 평균수익률은 7.98%로 정크본드 시장이 개설된 이래 가장 낮다.

그렇지만, 미국 연방준비위원회(Fed)의 제로금리 정책 탓에 현재 국채나 투자적격 회사채 수익률은 3.4%에 그쳐 적정 수익률을 바라는 투자자들이 위험을 무릅쓰고 정크본드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뉴스속보부]

출처: http://news.mk.co.kr/v3/view.php?sc=30000001&cm=%ED%97%A4%EB%93%9C%EB%9D%BC%EC%9D%B8&year=2012&no=246090&relatedcode=&sID=300

반응형
LIST
posted by Bwith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