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전지'에 해당되는 글 2건
- 2024.05.26 :: 변압기 수요 폭발 시대(3)
- 2023.09.16 :: 디이엔티 정리 및 분석(20230915)
*관련 포스팅:
----------------------------------------------------------------------------------------------------------
BwithU의 재미있는 대체투자 & 금융투자 :: 현대일렉트릭 정리 및 분석(20221121) (tistory.com)
BwithU의 재미있는 대체투자 & 금융투자 :: HD현대일렉트릭 정리 및 분석(20230723) (tistory.com)
----------------------------------------------------------------------------------------------------------
BwithU의 재미있는 대체투자 & 금융투자 :: 변압기 수요 폭발 시대(1) (tistory.com) (20240315)
BwithU의 재미있는 대체투자 & 금융투자 :: 변압기 수요 폭발 시대(2) (tistory.com)
변압기 수요 폭발 시대(1), 변압기 수요 폭발 시대(2) 에서 AI산업 성장과 미국의 노후 전력망 교체수요가 변압기 수요는 물론이고, 화석연료를 전기로 대체하는 전기화 트렌드가 진행되면서 변압기와 전선 수요가 증가함을 정리.
그리고 이러한 흐름은 구리가격의 급상승 등에도 영향을 주면서 메가트렌드로 자리잡음. 하지만 그 파급효과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음.
변압기의 핵심부품은 권선과 철심(변압기 원가의 60%를 차지). 따라서 변압기는 권선이 철심을 감싸는 내철형과 철심이 권선을 감싸는 외철형으로 나뉘는데, 내철형은 생산이 쉽고 저렴하지만 외철형은 더 비싸지만 합선사고의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안전이 중요한 초고압 변압기와 산업용 변압기에 사용됨.
철심은 얆은 철판(전기 강판)을 쌓아올려서 만드는데, 이는 강판의 두께가 얆을수록 와전류 손실이 줄어들어 변압기의 효율이 올라가기 때문. 전기 강판은 철에 1~5% 비율로 규소가 첨가된 특수강철이며 에너지 효율이 좋으며 변압기, 모터 등 다양한 전기장치에서 사용됨.
변압기는 방향성 전기강판, 전기차 등에 쓰이는 모터는 무방향성 전기강판을 사용하고, 1, 예비소둔과 2번 냉간압연기공정은 같으나 3번 소둔과 4번 절연코팅 설비 공정에서 차이를 보임. 즉, 전기강판이 방향성(변압기용)으로 공급될지, 무방향성(전기차 모터용)으로 공급될지는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짐.
자동차업계 공급망 위기... 반도체 다음엔 전기강판이 문제? [최원석의 디코드+] (chosun.com)
포스코그룹, '쇼티지' 전기강판 투자·사업 확대 가속페달 - 전자신문 (etnews.com)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던 2021년 전기강판 공급 부족이 나타났고, 2022년에는 '전기강판 공급이 2025년 이후 부족해진다'는 전망이 나옴. 이에 포스코는 총 1조원을 투자하여 전기강판 생산능력을 오는 2025년까지 현재 연 10만톤에서 4배 에 달하는 연 40만톤으로 확대하기로 함. 이는 연간 전기차 800만대 분량.
(출처: 한국 철강협회 월간 철강보 2024.04)
이러한 설비투자의 결과 2024년 4월까지도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변압기에 사용되는 방향성 전기 강판보다 전기차에 사용되는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생산량이 더 많아짐.
"1Q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 전년비 20.4% ↑…성장세 둔화" (edaily.co.kr)
하지만 2024년 1-3월 세계 각국에 차량 등록된 전기차 총 대수는 전년 대비 약 20.4% 상승한 약 313.9만대로 성장세가 둔화되었고, 전방 수요가 예상보다 부진해지면서 전기차 업계의 전기강판 공급부족 우려는 잠시 수면 아래로 가라앉음.
(출처: 한국 철강협회 월간 철강보 2024.04)
실제로 내수, 수출 모두 변압기에 사용되는 방향성 전기 강판보다 전기차에 사용되는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출하량이 더 많은 상황.
(출처: 한국 철강협회 월간 철강보 2024.04)
하지만 전세계적 전력망 투자에 따른 변압기 수요 급증에도 불구하고 변압기에 사용되는 방향성 전기강판의 재고는 증가함.
"북미 변압기 숏티지로 문의 많아..캐파 증설은 아직”-HD현대일렉트릭 컨콜 (edaily.co.kr)
이는 수주산업의 특성상 고객사의 니즈가 급증한다고 해도 그에 맞춰 CAPA를 증설하여 수요에 즉각 대응하기 어렵기 때문이 아닐까 함.
전력 호황에 물 만난 변압기 업체…1Q 설비투자 2배 늘려 - 아시아경제 (asiae.co.kr)
하지만 전력망 투자붐에 따라 국내 변압기 업계의 주요 플레이어들은 CAPA 투자는 꾸준히 이어나가고 있으며 2030년 이 후 수요에 대한 확신이 생긴다면 더 적극적으로 CAPA를 늘릴 전망. 그리고 이에 따라 방향성 전기강판의 재고는 장기적으로 우하향 할 가능성이 큼.
2024년 세계 전기차 시장 21% 성장…전문가들 ‘상저하고’ 전망 (daum.net)
2024년 전기차 판매량 증가 전망, IEA 보고서 By Investing.com
하지만 2024년 하반기 이 후 전기차 시장이 성장세를 회복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음. 성장세가 둔화되었다고 하지만 연 20% 대의 성장세를 기록하는 전기차 업체들이 전기강판 시장의 큰 손으로 컴백한다면 전기차에 사용되는 무방향성 전기강판의 재고도 동시에 낮아질 수 밖에 없음. 이는 2022년에 제기되다가 수면아래로 가라앉은 '전기강판 공급부족론'이 다시 부상하게 될 수 있음을 의미.
[김종대의 스틸스토리] 2027년 글로벌 전기강판 시장 20조원 - 글로벌이코노믹 (g-enews.com)
LG가전 심장 빚는 조물주 '갓스코'…무방향성 전기강판 화제 - 철강금속신문 (snmnews.com)
전기강판은 변압기, 전기차 외에도 다양한 가전제품에도 사용되는 고부가가치 특수강으로 미국의 클리블앤드 클리프스(CLF)(AK스틸(미국) 인수), 유럽의 아르셀로미탈(MT), 티센크루프(독일), 중국의 보산철강, 일본의 일본제철(일본), JFE스틸(일본), 다테호와화학공업(일본), 히타치 금속(일본), TDK(일본), 고베제강(일본), 그리고 한국의 포스코로 제한적. 최근 인도 역시 국산화 하려고 노력 중.
향 후 중요 소재인 전기강판의 공급 차질이 발생할 경우 전방 수요가 긍정적일 때는 단가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그 반대의 경우 생산업체의 마진을 잠식할 우려가 있음. 유사시 변압기는 물론이고 전기차, 2차전지 투자자들도 역시 고려해야할 사항.
'My thoughts > 투자 아이디어의 조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 상황 리뷰(20240805) (0) | 2024.08.05 |
---|---|
해외 전력망 관련주 리스트 업 (2) | 2024.06.18 |
변압기 수요 폭발 시대(2) (0) | 2024.04.19 |
변압기 수요 폭발 시대(1) (0) | 2024.03.15 |
FEOC (우려외국집단) 관련 2차 전자 소부장 기업 정리(20240224) (2) | 2024.02.24 |
*분석 종목: 디이엔티
*투자기간 :(단기투자,중기투자,장기투자) 중장기투자
*현재가 : 34,150 원(2023년 9월 15일 종가 기준)
*목표가 : 미상(+%)=>유상증자 이후 체크 필요
*손절가 : 30,350 원 (손절 필수, 몰빵금지, 분산투자, 매수 여부 답변 및 사후 코멘트 의무 없음)
*기업개요 : OLED 공정 및 검사장비, Micro-LED 검사장비, 이차전지 제조장비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장비를 제조 및 판매하는 종합장비회사로 시작하였으며 최근 이차전지 제조공정의 핵심장비인 레이저 노칭장비를 개발, 상용화하면서 전기자동차와 함께 주목받고 있는 이차전지 장비사업에 진출.
한편 당사의 이차전지 제조장비 주요제품은 레이저 노칭장비 등이 있으며, 국내외 Major 고객사에 공급 중. 또한 디스플레이 검사장비 주요제품은 Array Tester, Aging Tester, AMI 등이 있으며, 국내외 디스플레이 패널제조사에 공급하고 있음.
2022년 연간사업보고서상 매출 비중은 2차전지 레이저 노칭장비 33.29%, 2차전지 기타 장비 제조에 필요한 부품, 기술 및 설치용역 7.12%, 디스플레이 사업부 59.59%.
하지만 2023년 6월 반기보고서 상 매출비중은 2차전지 사업부의 레이저 노칭장비 78.27%, 기타 장비 제조에 필요한 부품, 기술 및 설치용역 등 13.76%, 디스플레이 사업부 7.97%으로 2차전지 사업부의 매출이 늘고 있음.
*재무재표 : 장단점
시장 전망치는 긍정적, 다만 유증총액 1215억으로 증가된 자본이 얼마나 영업이익 창출로 이어지느냐 팔로우 업 필요. 최대 주주 지분률 18%로 부족하지 않나 싶음.
*차트 및 수급 분석 : (정배열,역배열,하락후반등)
최근들어서 기관투자자 매수전환하고, 소폭이지만 공매도 생겨나면서 시장에서 관심을 보이는 듯
*뉴스 및 시장 분석:
[파워 e종목] 디이엔티, 고객사 양극 레이저 노칭 대규모 발주에 주가 날개 달까 < 코스닥 < 인베스트먼트 < 기사본문 - 데일리인베스트 (dailyinvest.kr)
디이엔티는 1998년부터 TFT-LCD 검사장비인 프로버(Automatic, Manual Cell Prober)를 국내 유수의 업체에 공급해왔으며, 시장점유율 70%를 유지하고 있음. 또한 TFT-LCD 점등 검사기, PDP 점등 검사기, TFT-LCD, Color Filter Glass 검사 장치인 MacMic등을 개발 완료하여 공급 중. 그리고 2차전지 조립공정에 쓰이는 양극 레이저 노칭장비를 제조할 수 있는 유일한 기업이기도 함.
비즈니스리포트 (businessreport.kr)
디이엔티는 지난 2017년부터 레이저 노칭기 개발을 시작해 2021년 말부터 레이저 노칭기 양산라인 매출이 생김. 레이저 노칭기는 기존에 사용하는 프레스 노칭기와 비교해 속도, 수율, 비용 등에서 장점이 있으며 특히 불량률이 낮은 것이 가장 큰 장점.
현재 2차전지 장비업계에서 가장 부각되는 공정은 자동화 공정이며 조립공정에서는 디이엔티의 양극 레이저 노칭을 시작으로 기존 프레스 노칭을 레이저 노칭으로 대체 중. 전극 공정 중 연속식 믹서, 건식 코터 등도 테스트 단계.
레이저 노칭기를 양산 라인에 공급하는 것은 디이엔티가 국내에서 유일하며, 2차전지 양산 라인에 레이저 노칭기를 설치한 것도 국내외에서 LG에너지솔루션이 유일. 디이엔티는 지난해 LG에너지솔루션에서 800억 원 수주를 받음.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은 북미 시장에 공장을 확대하고 있으며, 양산 라인에 디이엔티의 레이저 노칭기가 단독으로 공급되고 있음.
앞서 지난 2월13일에는 디이엔티의 핵심 고객사인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세 번째 공장을 합작하면서 단일 기준 최대 규모의 2차전지 제조 장비를 발주한다는 소식에 디이엔티는 전일 대비 8% 넘게 상승. LG에너지솔루션과 GM의 합작사 얼티엄셀즈 3공장은 내년 하반기 가동될 예정. LG에너지솔루션은 이 공장에서 고성능 전기차 60만대(50GWh)에 탑재할 배터리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알려짐.
디이엔티의 양극 레이저 노칭은 아직 대체 불가로 독보적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디이엔티의 파우치 라인에는 2~3년은 락인 효과를 누리며 전량 공급할 수 있음.
미래에셋 리서치에 따르면 3분기에는 LGES 향 스탤란 45GWh, 미시건 GM3 45GWh, 자체 미시건 20GWh 발주할 것으로 추정되며 4분기부터는 순차적으로 애리조나 45GWh, 혼다 45GWh, 현대차 35GWh 발주가 예상됨.
디이엔티는 또한 내년부터 양극 레이저 노칭 이외에 음극 레이저 노칭도 진출할 가능성이 있음. 양극 레이저 노칭이 음극 레이저 노칭보다 어렵기 때문에 디이엔티는 음극 레이저 노칭도 대응이 가능.
디이엔티, 이차전지 장비 주문 대응 위해 대규모 증자 - 아시아경제 (asiae.co.kr)
최근 이차전지 업체들은 수율 관리를 위해 레이저 노칭장비 도입을 적극 고려 레이저 노칭장비를 공급하려면 약 3년에 걸쳐 이차전지 제조 업체의 성능 및 가동평가를 통과해야 함. 디이엔티는 북미 지역에서 대규모 증설을 계획 중인 LG에너지솔루션에 파우치형 양극 레이저 노칭장비를 독점 공급하고 있음. 신규 업체가 시장에 진입하기 전까지 디이엔티의 수주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음.
하지만 디이엔티의 재무상태는 열악. 연결기준 부채총계는 2020년 약 264억원에서 올해 1분기 약 846억원으로 늘었다. 장기간 당기순손실이 이어지면서 자본총계는 같은 기간 256억원에서 약 223억원으로 감소. 연결기준 부채비율은 2020년 말 102.8%에서 올해 1분기 말 380.2%로 277.4%포인트 상승했고, 장·단기 차입금 규모는 192억원에서 400억원으로 증가.
이는 이차전지 레이저 노칭장비를 개발하고 생산공장을 확보하기 위한 시설자금 등을 차입금으로 충당한 결과. 차입금이 늘어나고 금리 인상까지 겹치면서 이자비용 규모가 더욱 더 커짐. 지난해 이자로 지급한 비용은 11억6000만원이었고, 올 1분기에는 5억4000만원을 지급.
디이엔티는 증자로 조달한 자금 가운데 277억원을 채무를 상환하는 데 사용되고, 차입금 가운데 70%가량을 상환하면서 재무구조 개선과 이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나머지 자금 가운데 768억원은 원재료 구입비용으로 지출할 계획. LG에너지솔루션 등과 체결한 양극용 레이저 노칭장비 대규모 공급계약으로 수주물량이 급증하면서 대규모 운전자금이 필요해짐. 원재료 구매비용과 별도로 143억원은 고성능 노칭장비를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위한 연구개발자금으로 배정.
이차전지 제조업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전극공정 핵심 장비인 레이저 노칭장비 수주도 견조한 흐름을 보일 전망이고, 이번 유증은 디이엔티의 향 후 매출에 긍정적.
핵심 포인트 3가지 이상 :
1) 2차전지 업체들 기존 장비를 레이저 노칭 장비로 교체 중.
2) 레이저 노칭장비 2-3년 정도 독점 공급 가능할 전망.
3) 유증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 및 고객사 발주에 적극 대응
'My thoughts > 개별종목 분석 및 코멘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HD현대일렉트릭 정리 및 분석(20230723) (0) | 2023.07.23 |
---|---|
이수페타시스 정리 및 분석(20230626) (0) | 2023.06.26 |
비올 정리 및 분석(20230203) (2) | 2023.02.03 |
다우데이타 정리 및 분석(20230109) (0) | 2023.01.09 |
현대일렉트릭 정리 및 분석(20221121) (0) | 2022.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