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최종수정시간 : 2012-04-06 09:41

국내 펀드 시장에서 자금 쏠림 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오히려 국내증시에 독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현재 국내 주식형펀드가 4개월 연속 자금이 빠지고 있는 가운데 펀드 갈아타기 열풍도 이어지고 있다. 투자자들은 올해 국내증시 단기 급등 부담감에 주식형펀드에서 자금을 빼고 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주가연계증권(ELS)이나 특정 상장지수펀드(ETF)쪽으로는 자금이 몰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주식형펀드는 지난달 2조2000억원 순유출했다. 반면 ELS는 지난달 발행규모가 5조5880억원으로 사상최대치를 기록했다. 또 특정 ETF에도 자금이 몰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시가총액 12조원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는 ETF는 증시변동성이 줄어들면서 3월 들어 평균 거래대금이 4400억원 감소해 잠시 주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삼성전자 비중이 높은 ETF나 수익률 상위권을 달리고 있는 ‘타이거(TIGER) 200 ETF’에는 거래량이 증가하고 있다. 지난달 말 현재 국내 ETF 시장은 총 114종목이 상장돼 있는데 거래량 기준 3개 종목이 90.85%를 차지해 소수 종목이 시장 전체를 지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자금 쏠림현상으로 국내증시에는 단기 조정의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ELS 발행 규모가 사상최대치를 기록하면서 주식변동성이 크게 줄면서 증시 상승세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는 지적이다. 수급적 측면에서 주식변동성을 높이던 주식워런트증권(ELW) 시장이 붕괴로 인한 ELS와의 힘의 균형이 깨지면서 증시 상승 탄력을 둔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이승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ELS와 ELW 간의 힘의 균형이 깨지면서 코스피가 ELS에 의해 휘둘리고 있다”고 밝혔다.

ELW시장은 금융감독당국이 시장건전화라는 명분으로 정부 규제를 가했지만 정부의 과도한 규제로 시장 자체가 존폐 위기에 빠졌다. 특히 지난달 LP(유동성공급자) 호가 제출 제한 조치로 ELW 일일 거래량이 6분의1 수준으로 급감해 LP마저 시장을 떠나고 있다.

금융감독 당국이 스캘퍼로 혼탁했던 ELW시장을 건전화 시키겠다는 규제방안이 ‘벼룩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우는 모습이라는 것이라고 증권업계는 지적하고 있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금융감독 당국의 체계적인 대책마련이 없으면 결국 ELW 시장에 몸담고 있는 개인투자자 피해는 물론 전체 주식시장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응형
LIST
posted by BwithU
:
728x90
반응형
SMALL

"요즘 ELS를 찾는 고객들이 부쩍 늘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한 템포 늦추면서 관망해야 하는 타이밍입니다."

3일 KB투자증권 압구정 PB센터에서 만난 정대영 지점장은 최근 과열되고 있는 ELS(주가연계증권) 시장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정 지점장은 "부유층 고객들 중에도 요즘 ELS 상품을 찾는 경우가 많다"면서 "박스권 장세가 지속되면서 안정적으로 초과 수익을 내기 위한 대안으로서 매력적이라는 판단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객들에게 ELS 투자를 자제하고 잠시 쉬어가라고 권유하고 있다"면서 "ELS 시장이 공급자 위주로 바뀌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지난 3월 ELS 발행액은 5조원을 돌파하면서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그러나 ELS 발행액이 늘어나면서 상품 매력도는 그만큼 떨어지고 있다는 게 정 지점장의 생각이다.

그는 "ELS 발행이 늘어나며 증권사들이 수익률을 높이면서 상품의 위험성까지 높이는 상품을 선보이고 있기 때문에 굳이 ELS에 들어가기보다는 잠시 관망하는 게 유리할 수 있다"면서 "다른 대안을 찾기 어렵다면 상황에 따라서는 쉬어가는 것도 가장 좋은 투자 방법일 때가 있다"고 말했다.

어찌 보면 지나치게 보수적일 수 있어 보이지만 정 지점장은 최근 20여 분기 동안 분기 단위 수익률에서 단 한 번도 `마이너스`를 기록한 적이 없다. 시장이 좋지 않거나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했을 때는 잠시 쉬면서 관망한 것이 이 같은 성과의 비결이었다.

정 지점장은 "중위험 중수익을 추구하는 안정적 성향의 투자자들을 주 고객으로 두고 있다"면서 "위험선호형 공격적 고객들은 다른 PB에게 연결시킨다"고 털어놓았다.

그래도 투자를 해야 한다면 어디에다 돈을 넣겠냐는 질문에 정 지점장은 "IT와 자동차 업종 우량주를 직접 추천하거나 금ETF 상품을 권유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3월까지만 해도 엔저 영향으로 전혀 언급이 나오지 않던 현대차에 대한 관심이 요즘 급증하고 있다"면서 "금은 최근 하락세를 보인 만큼 반등할 가능성에 관심을 보이는 분들이 많다"고 강조했다.

정 지점장은 최근 강남 부자들의 보수적 투자 성향이 늘어난 것 같다고 진단했다. 그는 "최근 강남 아파트 가격이 하락하면서 2000을 넘어선 주식마저 하락하면 어떡하느냐는 걱정이 많은 것 같다"면서 "다주택자들의 경우 부동산 매매가 잘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펀드를 환매해서라도 안정적인 현금을 보유하면서 관망하려는 경향을 보인다"고 말했다.

정 지점장은 1995년 한국투자증권에 입사한 뒤 2년 전 KB투자증권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가 압구정동에 터를 잡고 PB 생활을 시작한 것은 2002년이다. 경력 10년이 넘은 셈이다. 정 지점장은 "다른 증권사 PB센터를 둘러봐도 내가 제일 오래된 PB더라"면서 "6~7년 이상 꾸준히 찾아주는 고객이 90% 이상이며 이렇게 쌓인 신뢰 속에서 한국투자증권에서 KB투자증권으로 넘어올 때 대부분의 고객이 나를 따라왔다"고 귀띔했다.

압구정동에서만 오래 일하다 보니 이제는 아버지와 아들로 `대를 잇는` 고객도 부쩍 늘었다.

정 지점장은 "중위험 중수익 모델로 꾸준한 수익을 내는 데 집중하다 보니 신뢰가 쌓인 것 같다"면서 "아무리 부자라 할지라도 아들이 결혼할 때도 기초증여분 일정금액을 제외하면 철저히 스스로 알아서 자금을 조달하도록 하는 모습에서 부자들의 자산관리 교육의 단면을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정 지점장은 "보통 아버지와 아들의 투자 성향이 비슷하다는 점에서 부전자전을 느끼게 된다"면서 "부자는 3대를 넘기 힘들다고 하지만 대를 잇는 PB서비스로 가능하다는 걸 보여줄 것"이라고 밝혔다.

KB투자증권 압구정 PB센터는 KB국민은행의 PB센터와 통합돼 있다. 한 번 찾은 고객에게 원스톱 서비스를 지향하겠다는 취지에서 시작했다. 고객의 반응은 매우 좋은 편이다.

정 지점장은 "은행과 증권사 상품뿐 아니라 부동산, 세무, 보험 등 다양한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한 가족 전체의 자산 관리를 책임지는 `가족 주치의`라는 생각으로 PB 업무에 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승철 기자 / 사진 = 김재훈 기자]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2&no=212523

반응형
LIST
posted by BwithU
:
728x90
반응형
SMALL

삼성전자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1분기 어닝시즌이 시작됐다.

최근 한 달간 코스피는 보합권에 머물러 있었다. 이에 반해 삼성전자의 독주와 일부 대형 우량주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른바 슬림화 장세가 지속되고 있는 셈이다. 슬림화 장세는 실적이 호전된다는 점과 실제 발표될 실적은 시장 기대치보다 높을 것이라는 어닝 서프라이즈에 근거해 나온 말이다.

스타일별 투자전략을 분석해 보면 주식이 크게 상승하는 구간은 저점을 지나 어닝 서프라이즈 현상이 발생할 때였다.

그런데 올해 1분기 실적 결과를 보면 어닝 서프라이즈 기업이 다수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판단하는 이유는 MSCI(모건스탠리캐피털 인터내셔널)코리아 12개월 예상 주당순이익(EPS) 수정비율이 아직 마이너스권이지만 빠른 속도로 반등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익 전망치도 11개월 만에 상향 조정됐고 국내 200개 주요 기업의 분기별 순이익은 지난해 3분기 17조400억원을 저점으로 올해 3분기 29조2200억원까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어닝 서프라이즈 현상과 주가의 상관관계가 높다는 사실은 `역발상 투자` 저자인 데이비드 드레먼 교수가 1973년부터 1993년까지 미국 주식들을 크게 세 그룹(고PER, 중PER, 저PER)으로 분류해 분석한 바 있다.

분석 결과 각각의 그룹에서 서프라이즈 현상이 발생한 기업들은 다음 분기까지 평균 12%라는 높은 주가 상승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해에도 관련주들은 4.3% 상승률을 기록했다.

반면 네거티브 서프라이즈 현상이 나타난 기업들은 실적 발표 후 다음 분기에 주가가 평균 12%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해에도 평균 5% 하락하는 등 상반된 결과를 보여줬다.

물론 기업들이 제시하는 실적 전망에 따라 주가 흐름이 달리 나타나기도 한다.

텍사스 경영대학원이 2000년대 초 대표기업이었던 마이크로소프트의 주가 흐름을 분석해 본 결과 실적개선 구간에서는 발표 당일에 근접할수록 주가 상승률이 둔화되다가 발표 당일에는 주가 변동폭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적 발표 이후 20일간 주가 상승률은 이전 구간보다 훨씬 높았다.

그동안 실적 개선주들이 많을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슬림화 장세가 진행된 것은 증시 주변 환경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실적 개선의 가시성이 제일 높았던 우량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쏠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실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나고 향후 실적 전망 역시 긍정적으로 평가된 종목들의 주가 탄력은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송상종 피데스투자자문 대표]

 

출처: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2&no=211724

반응형
LIST
posted by Bwith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