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sterity Is Strangling Europe
긴축에 대한 거부감 전 유럽으로 확산
By GERHARD SCHRÖDER(May 3, 2012 )
http://www.nytimes.com/2012/05/04/opinion/austerity-is-strangling-europe.html
수 십 년간에 걸친 유럽통합에 역사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각 국 내부의 반작용 역시 존재해 왔다. 유럽 통합의 역사는 위기들로 점철되어왔다. 유럽은 이러한 위기에 지속적으로 대응해왔고 이는 유럽의 통합을 더욱 공고하게 하였다. 과거에도 그랬듯이 이번에도 유럽의 정치 지도자들의 합의는 이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founding of the European Coal and Steel Community in 1951, the number of participating states has increased from 6 to 27. The European institutions and bodies of regulations have been steadily enlarged in parallel. For politicians in the nation states, but also on the European level, this complexity signifies a great challenge.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the distribution of powers between the European Union and the nation states, and the interaction of the institutions must be simplified and regulated more clearly. Only then will it be possible to continue the integration process needed and make the European Union more capable of action.
유럽석탄철강공동체가 1951년에 설립될 당시 회원국의 수는 6개국이었으나 현재 EU의 회원국은 27개국에 달한다. 이에 따라 유럽통합을 위한 기구와 규정들은 서서히 자리를 잡고 그 범위도 넓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유럽의 통합 과정에 따라 유럽 각국의 정치인들은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의사결정 과정에서 EU와 개별 회원국 정부 사이에 권력의 배분과 각 기구간의 상호 협의 과정이 더욱 명확하게 규정될 필요성이 생긴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유럽 통합을 지속시키기 위해 필수적이다.
This capability, and the ability to react more quickly to the development of financial markets, requires a European policy. The current crisis has plainly shown this. The president of the European Parliament, Martin Schulz, rightly speaks of a crisis of confidence, because people doubt the ability of democracy to solve urgent problems. The
EU 금융시장의 변화에 대한 좀 더 빠른 대응과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행정 수단을 구축해야 한다. 현재의 위기는 이를 명백하게 보여주고 있다. EU 의회 의장 마틴 슐츠는사람들이 EU가 이러한 문제들을 민주적 수단으로 해결할 수 있을지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이 신뢰의 위기를 야기했다고 말했다.
In the past months it has become clear that there are different speeds in the European Union. The gulf between countries that are able and willing to integrate more quickly, and countries that are applying the brakes has become wider. This development is not at all unusual: We have gone through many phases with different speeds.
과거 몇 개월 사이 유럽에는 다양한 가능성이 새로 생겨났다. 국가간의 차이를 좁히기 위한 노력이 이어졌고, 점점 더 많은 회원국들이 통합을 위한 노력에 동참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진전은 여러 가지 다양한 가능성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졌음을 감안했을 때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In my time in office,
2003년 벨기에, 독일, 프랑스 그리고 룩셈부르크는 “쵸콜렛 정상회담”을 통해 유럽의 안보 정책에 대해 논의하기로 했다. 지금 우리는 통합을 추진할 보다 견고한 구심점을 다시 필요로 한다. 더 넒은 범위의 유럽통합을 위해서 이는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이다. 그리고 각국의 정치 지도자들은 대중들에게 이러한 아이디어에 대한 동의를 얻어낼 책임이 있다.
This is true, for example, for growth initiatives, structural reforms and proposals to strengthen European institutions in relation to nation states. And above all it’s about enacting European decisions more democratically. At the moment the role of parliaments is decreasing, which could bring an erosion of democracy. We must resist this.
예를 들어, 성장 촉진 정책, 구조 개혁과 EU 회원국들 간의 유대감 형성을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조치들은 EU의 의사결정과정을 더욱 민주적으로 만들 것이다. 국회의 역할이 감소하게 된다면 이는 민주주의에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우리는 이것을 막아야 한다.
There are three areas in which European policy must be rerouted. These are the goals of the Nicolas Berggruen Institute’s Council on the Future of Europe, of which I am a founding member:
유럽 연합의 정책 중 바뀌어야 하는 부분은 3 부분이다. 이는 내가 창립 멤버이기도 한 ‘유럽의 미래를 생각하는 니콜라스 베르겐 협회’ 의 목표이기도 하다.
First, the direction of European economic and financial policy must change, away from pure austerity toward growth.
첫째, 유럽 경제 정책과 금융정책이 긴축에서 성장으로 바뀌어야 한다. 그리스, 아일랜드, 포르투갈, 이탈리아, 스페인은 재무 안정성이 충분하다. 그러나 이들의 경제적, 정치적 상황은 긴축 일변도 정책으로는 현 위기를 해결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오히려 강압적 긴축이 더 큰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크다.
This policy conceals dangers. It delegitimizes democratic politics in the nation states that find themselves faced with protests and the growth of extremist parties. But this policy is also economically wrong for the whole
이러한 정책은 위기를 은폐할 뿐이다. 이는 각국의 국민들의 반발과 정치적 급진주의자들의 제도권 진입을 야기해서 민주적 정치 체제에 위협하게 될 것이다. 반면 이러한 변화는 수출 중심 경제구조를 가진 다른 EU회원국에게도 악영향을 줌으로서 EU 체제 전반의 안정성은 흔들리게 될 것이다. EU 회원국들은 독일의 총 수출 중 60%를 차지하고 있다.
Second, we need a program of European structural reform.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E.U. states must be strengthened further because emerging countries like
둘째, EU 집행부의 구조개혁이 필요하다. 브라질, 러시아, 중국, 인도의 부상에 따라 EU 개별 국가들의 국제 경쟁력은 강화되었지만 유럽 국가간의 불균형은 심화되었다. 과감한 구조개혁은 성장을 촉진시키고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 낼 것이다. 이는 독일의 사례에서 이미 증명된 바 있다. Agenda 2010에서 우리 독일은 사회복지 시스템의 개혁을 추진하였다. 독일은 최근 몇 년 사이에 ‘유럽의 병자’에서 ‘유럽의 엔진’으로 변하였다.
This has been helped by
경쟁력 있는 산업과 많은 강소 기업들에 초점을 맞춘 이러한 조치들은 독일의 비정상적 경제 구조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의 국가는 이와 유사한 개혁안을 벤치마킹 할 필요가 있다.
And third, I believe
셋째, 나는 유럽이 오랜 금융위기를 극복하고 정치적으로 더욱 통합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상황은 통합된 금융, 재정 사회 정책이 없이는 유로존이 유지될 수 없음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EU의 개별 회원국에서 EU집행부로의 권력 이양을 통해 진정한 정치 통합을 이루어야 한다.
To this end the European institutions must be reformed in the following ways:
EU 집행부는 이를 실행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조치들을 취해야 한다:
•The European Commission must be further developed into a government elected by the European Parliament.
유럽 위원회는 유럽 의회에 의해 선출된 행정부 형태로 발전해야 한다.
•The European Council must give up powers and should be transformed into an upper chamber with similar functions to the Bundesrat in Germany.
유럽 이사회는 독일 연방상원위원회와 유사한 상원에게 권력을 이양해야 한다.
•The European Parliament must have increased powers and in future it should be elected via pan-European party lists with top candidates for the post of president of the commission.
유럽의회는 향 후 위원회의 위원장이 발표한 후보자들로 구성된 범 유럽 정당 명부에 의해 구성되어야 하며 현재보다 더 강한 권한을 가져야 한다.
A European Convention is part of a process of renewal that leads to Europe-wide discussions. In my time in office
유럽 협약은 유럽의 상호 협의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개혁의 일부이어야 한다. 독일은 기본권과 헌법에 대한 유럽 헌장을 위한 협약을 의제로 제안한 바가 있다. 이 논의는 민주화, 접근 가능성, EU와 회원국 간 군축에 대한 책임의 명확성에 대한 논의였다. 안타깝게도 유럽 헌법은 제정되지 못하였지만, 많은 요소들은 리스본 협약에 반영되었다. 지금이야 말로 유럽의 주요 국가들이 향후 통합을 위해 새로운 협약을 제안해야 할 시점이다.
We need an integrated
우리는 유럽 통합의 필요성을 전보다 더욱 더 느끼고 있다. 국제 정치와 경제적 경쟁 속에서는 독일과 같이 강력한 경쟁력을 가진 개별 국가들 조차 독자 생존을 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통합을 위한 지속적 노력을 통해서만이 중국과 미국이라는 강력한 경쟁자들 틈바구니에 살아남을 수 있다. 그 후 EU는 타 지역에서 벤치마킹 할 만한 사회적으로, 경제적으로, 문화적으로 그리고 정치적으로 성공적인 공동체가 될 것이다. 유럽화는 국제화에 대한 이성적인 정치적 대응을 의미한다.
'My thoughts > 영문 기사 번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e Stocks Doomed by Demographics?(주식시장은 인구 통계학적 요인으로 인해 붕괴할 것인가?) (0) | 2012.10.06 |
---|---|
일본중앙은행, 시장에 대한 신뢰 회복 필요 (0) | 2012.05.10 |